2026 월드컵 아시아 예선 B조 현황 분석
2026년 북중미 월드컵을 향한 아시아 예선이 중반을 넘어가고 있다. 특히 B조는 전통적인 강호 한국과 일본, 중동의 복병 바레인, 조직력 강한 요르단까지 포함되며 치열한 경쟁이 이어지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3월 기준 B조의 현재 상황, 팀별 전력, 남은 경기 전망을 중심으로 분석해본다.
B조 순위 현황 (2025년 3월 기준)
순위 국가 경기수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승점
1위 | 일본 | 6 | 5 | 1 | 0 | 14 | 3 | +11 | 16 |
2위 | 한국 | 7 | 4 | 3 | 0 | 11 | 5 | +6 | 15 |
3위 | 바레인 | 7 | 2 | 2 | 3 | 6 | 9 | -3 | 8 |
4위 | 요르단 | 6 | 1 | 1 | 4 | 4 | 11 | -7 | 4 |
※ 일본과 요르단은 1경기씩 덜 치른 상황
한국 대표팀: 무패 행진 속 불안한 수비
대한민국은 7경기에서 4승 3무를 기록하며 무패를 유지 중이다. 그러나 오만전 1-1 무승부는 아쉬움을 남겼다.
공격진은 손흥민, 황희찬, 이재성 등 경험 많은 선수들로 구성돼 위협적이나, 후반 집중력 부족과 수비 조직력 문제가 반복되고 있다.
- 장점: 개인 역량 뛰어난 공격진, 빠른 측면 전개
- 단점: 김민재 공백 시 수비 불안, 후반 체력 저하
- 남은 경기: vs 요르단 (3월 25일 수원월드컵경기장)
해당 경기에서 승리 시 본선 진출 확정이 유력하며, 만약 무승부 이상을 거두면 최소 플레이오프 진출권은 확보 가능하다.
일본 대표팀: 조직력과 스쿼드 깊이 모두 갖춘 전력
일본은 6경기에서 5승 1무로 B조 1위다. 최근 바레인전 3-0 승리를 통해 경기 내용과 결과 모두를 잡았다.
특히 미토마, 도안, 카마다 등 유럽파들의 활약이 두드러지며, 전술적 유연성도 뛰어나다.
- 장점: 높은 점유율 기반 빌드업, 득점 루트 다양성
- 단점: 강한 압박을 받을 경우 경기 흐름 흔들릴 수 있음
- 남은 경기: vs 요르단, vs 한국
일본은 남은 경기에서 1승만 추가해도 본선 진출이 사실상 확정된다. 한국과의 맞대결은 조 1위 결정전이 될 가능성이 크다.
바레인: 3위 싸움에서 경쟁력 유지
바레인은 강호들에게 패배하긴 했지만, 중위권 팀들과의 대결에서 꾸준히 승점을 챙기고 있다. 조직력이 강한 팀으로, 수비 중심 전술을 활용해 실점을 최소화하는 경향이 있다.
- 장점: 수비 조직력, 세트피스 강점
- 단점: 득점력 부족, 후반 체력 저하
- 남은 경기: vs 오만
3위권을 유지할 경우, 플레이오프를 통한 본선 진출 가능성이 남아 있다.
요르단: 승점 확보 실패, 사실상 탈락 위기
요르단은 6경기에서 단 1승에 그치며 B조 최하위다. 경기당 득점력이 매우 낮고, 수비에서도 약점을 드러냈다.
특히 일본과 한국을 상대로 경쟁력을 보이지 못하며 승점을 챙기지 못했다.
- 장점: 피지컬 기반의 압박, 간헐적인 역습
- 단점: 낮은 전술 완성도, 득점 루트 부족
- 남은 경기: vs 일본, vs 한국
두 강호와의 경기가 남아 있어 조별리그 통과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핵심 맞대결: 한국 vs 일본
B조의 하이라이트는 단연 한국과 일본의 맞대결이다.
두 팀 모두 본선 진출권을 눈앞에 둔 상태이며, 해당 경기는 조 1위 경쟁, 그리고 아시아 최고 전력의 자존심 대결이 될 것으로 보인다.
비교 항목 한국 일본
포메이션 | 4-2-3-1 | 4-3-3 |
에이스 | 손흥민 | 미토마 카오루 |
수비 리더 | 김민재 | 토미야스 |
미드필더 조합 | 백승호-박용우 | 카마다-엔도 |
감독 스타일 | 동기 중심 | 전술 중심 |
향후 일정 정리
날짜 경기 장소
3월 25일 | 한국 vs 요르단 | 수원월드컵경기장 |
3월 25일 | 일본 vs 시리아 | 사이타마 스타디움 |
6월 예정 | 일본 vs 한국 (예상) | 미정 |
마무리: B조, 강호와 복병의 전략 싸움
2026 월드컵 아시아 예선 B조는 예상대로 한국과 일본의 2강 체제가 형성됐다. 다만, 한국은 매 경기 후반 집중력 부족이라는 과제를 안고 있으며, 일본은 안정적인 조직력과 로테이션 운영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다.
남은 경기에서 어느 팀이 조기 본선 진출을 확정 지을 것인지, 그리고 맞대결에서는 어느 쪽이 더 강한 경기력을 보여줄 것인지가 큰 관심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