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빌드업 전술이란? 개념부터 EPL 사례까지

by 세계얄리 2025. 3. 31.

빌드업 전술이란? 개념부터 EPL 사례까지 완벽 정리

 

현대 축구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전술 용어 중 하나가 바로 '빌드업(Build-up)'이다. 경기 해설, 전술 분석, 감독 인터뷰에서도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이 용어는 이제 축구를 보는 데 있어 필수 개념이 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빌드업이 정확히 어떤 전술을 의미하는지, 그리고 그것이 실제 경기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는 명확히 이해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 글에서는 빌드업 전술의 개념과 구조, 유형, 그리고 프리미어리그(EPL) 팀들이 어떻게 빌드업을 활용하고 있는지를 사례 중심으로 깊이 있게 설명한다. 축구 팬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빌드업 전술'에 대해 개념부터 실전까지 완전히 정리해보자.

빌드업(Build-up)이란 무엇인가?

빌드업은 단순히 수비수가 공을 돌리는 패스 플레이를 의미하지 않는다. 축구 전술에서 빌드업은 수비 지역에서부터 공격 지역으로 조직적으로 공을 운반하는 전술 과정을 말한다.

즉, 단순히 롱패스로 공을 전방에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후방에서부터 점진적으로 패스를 이어가며 상대의 압박을 회피하고, 공간을 창출하며, 공격 기회를 만들어 가는 모든 흐름이 포함된다.

빌드업의 핵심 구조

구간 주요 역할
1차 빌드업 센터백, 골키퍼 → 공의 시작점
2차 빌드업 수비형 미드필더 → 탈압박 중심 연결
3차 빌드업 공격형 미드필더, 윙어 → 전진 패스, 공간 침투

빌드업의 대표 유형

유형 설명 및 특징
점유형 빌드업 짧은 패스로 볼 점유율을 유지하며 천천히 전개하는 방식 (예: 맨시티)
전환형 빌드업 탈압박 후 빠르게 롱패스로 전개해 공격 기회를 노리는 방식 (예: 리버풀)
하이브리드 빌드업 점유와 전환을 상황에 따라 혼합해서 사용하는 방식 (예: 아스널)

빌드업이 중요한 이유

  • 압박 회피: 상대의 전방 압박을 효과적으로 뚫고 나가기 위해 필수적이다.
  • 공격의 흐름 유지: 전개 과정에서 공격 흐름을 만든다.
  • 전술적 다양성 확보: 위치 변경, 패턴 플레이 등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 상대 수비 라인 흔들기: 수적 우위를 이용해 수비 라인을 유도하고 그 틈을 공략할 수 있다.

EPL에서의 빌드업 실전 사례

1. 맨체스터 시티 – 정교한 점유형 빌드업

  • 3백+2미드필더 구조 (3-2 빌드업)
  • 풀백이 중앙으로 들어오는 '인버티드 풀백' 전술
  • 짧고 빠른 패스로 상대 압박 유도 후 공간 침투

이 전술은 높은 점유율(65% 이상)과 높은 빌드업 성공률(88%)을 기반으로 경기를 완전히 통제한다.

2. 리버풀 – 빠른 전환형 빌드업

  • 골키퍼나 센터백 → 풀백/미드필더 → 측면 윙어로 빠른 전환
  • 반 다이크와 아놀드의 롱패스 활용도 높음
  • 상대의 압박을 최소화한 후 속도감 있게 전진

점유율은 낮아도 높은 득점력을 보이며, 슈팅 수에서 EPL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3. 아스널 – 하이브리드형 빌드업의 대표

  • 살리바–파르티–외데고르의 삼각형 구조 활용
  • 풀백이 중앙으로 좁히거나 전진하는 유동적인 움직임
  • 상대 압박 강도에 따라 빌드업 방식 전환

‘상황 판단력’과 ‘선수 간 거리 유지’가 전술의 핵심 요소로 작용한다.

빌드업의 한계와 극복 방법

  • 압박에 취약할 경우: 패스 실수가 바로 실점으로 이어질 수 있음
  • 기술력이 낮은 팀: 볼 컨트롤과 패스 정확도 부족 시 전개 자체가 어려움
  • 템포가 느려질 위험: 수비에서 공을 돌리면 공격 템포가 끊긴다

→ 일부 팀은 1차 빌드업을 생략하고 2차 빌드업부터 시작하는 방식도 활용한다.

결론: 빌드업은 현대 축구의 핵심 언어다

이제 '빌드업'은 단순한 전술이 아니라, 현대 축구의 공통 언어라 할 수 있다. 각 팀은 자신들의 색깔에 맞게 빌드업을 설계하며, 이를 통해 경기의 주도권을 잡는다.

축구를 더 깊이 이해하고 싶다면, 단순히 골 장면이 아니라 빌드업 과정부터 집중해서 보는 습관이 중요하다. 그것이 전술의 핵심을 이해하는 시작점이기 때문이다.